아파트 분양권 인지세 납부 방법에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. 분양권 인지세는 우체국에 직접 방문해서 납부하거나 및 온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. 분양권 인지세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납부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방법을 간편하게 설명드리니 안내된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아파트 분양권 인지세
아파트 청약에 당첨되어 분양권을 소유한 경우 인지세 납부에 관하여 들어보셨을 겁니다. 인지세 금액과 납부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.
인지세 뜻
인지세란 재산상에 권리, 변동 또는 승인을 표시하는 증서를 대상으로 하고 작성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. 세무서에 납부할 필요가 없으며 우체국에서 수입인지를 구매하거나 온라인 전자 수입인지 사이트에서 구매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. 수입인지를 '사고, 발급받는다'는 의미가 '인지세를 납부한다'는 의미입니다.
- 우체국 또는 온라인 전자 수입인지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여 납부
인지세 금액
분양계약서 작성 시 인지세를 내야 합니다. 1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주택의 인지세는 15만 원을 납부하면 되며 만약 거래액이 10억 원 이상 시 35만 원입니다.
분양계약서를 작성할 때 수입인지를 구매하고 별도 제출 없이 계약서와 함께 보관하시면 됩니다. 입주할 때 소유권 이전등기 절차 진행 시 함께 제출 및 납부하시면 됩니다.
분양 아파트의 경우 소유권 등기 절차 시 인지세를 한 번에 납부하는 것이 원래 관행이었습니다. 하지만 분양권 인지세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보는 분도 있고 시행사에서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도 있을 겁니다.
인지세 가산세
분양자라면 수입인지를 미리 구매만 해두시고 '소유권 이전등기'를 진행할 때 납부하면 됩니다. 한 때 인지세에 관하여 안내를 받지 못했는데 정부에서 가산세를 부과한다고 하여 이슈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. 하지만 현재 인지세 가산세는 유예되었습니다.
- 법정 납부기한 3개월 이내 납부 시 : 미납세액의 100분의 100 (가산세 100%)
- 법정 납부기한 3개월 초과 ~ 6개월 이내 : 미납세액의 100분의 200 (가산세 200%)
- 법정 납부기한 6개월 초과 : 미납세액의 100분의 300 가산세 부합 (가산세 300%)
인지세 납부 방법 2가지 오프라인, 온라인
인지세를 납부하는 방법은 직접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납부하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- 우체국은 현금 결제만 가능
- 온라인은 계좌이체 또는 카드납부 가능 (프린트 출력 기계가 없을 시 우체국 방문 권함)
인지세 우체국 납부 방법
준비물은 현금, 신분증으로 집 근처 우체국으로 방문하면 됩니다. 분양권 인지세는 반드시 계약자의 명의로 발급받아야 합니다.
우체국에 방문하면 전자 수입인지 구매 신청서를 작성해야 하며 간단합니다. 인지세 결제가 끝나면 대한민국 정부 수입인지 종이와 영수증을 주니 잘 보관하였다가 등기 시 제출하면 됩니다.
인지세 온라인 납부 방법
1. [전자 수입인지 홈페이지] 접속 후 종이문서용/전자문서용 전자 수입인지를 선택합니다.
- 아파트 분양권, 계약서 관련 인지세는 모두 '종이문서용' 전자 수입인지로 납부 및 발급함.
2. 로그인을 하시고 종이문서용 전자 수입인지를 구매합니다.
- 용도는 인지세 납부, 과세문서이며 종류는 부동산 등 소유권 이전, 금액은 15만 원 건수는 1건으로 설정하여 진행
3. 확인을 누르면 입력정보를 확인하라고 나오는데 반드시 테스트 출력을 해보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 단 1번만 출력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
4. 계좌이체, 신용카드 중 어떤 것으로 결제를 진행할지 결정합니다.
5. 테스트 출력 후 정부 수입인지를 출력하시면 모든 절차가 마무리됩니다.
인지세를 온라인으로 납부하는 방법이 어렵다면 우체국으로 직접 방문하시는 게 오히려 간단할 수도 있습니다.
생애최초 주택구입 대출 LTV DSR 조건과 계산 방법 정리
아파트 분양권 인지세 납부 방법 2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. 우체국에서는 현금 결제만 가능하고 온라인에서는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.
'재테크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 신혼부부 매매대출 주택도시기금 기준과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(1) | 2021.09.14 |
---|---|
임대인 임차인 전세계약갱신청구권, 묵시적 갱신에 대한 쉬운 설명 (3) | 2021.09.13 |
코스피 피크아웃 뜻과 테이퍼링, 언더슈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(0) | 2021.08.23 |
경기도 일하는 청년 통장 지원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자 (0) | 2021.08.20 |
청년 동행 카드 바우처 잔액 조회 방법 & 사용내역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1.08.17 |